파이썬은 동적 타이핑(dynamic typing) 언어로, 변수의 자료형을 명시적으로 선언하지 않아도 됩니다.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파이썬이 자동으로 해당 값의 자료형을 결정합니다. 다양한 내장 자료형이 있으며, 각각의 특징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숫자형 (Numeric Types)
- int (정수): 정수형 자료를 나타냅니다. 예를 들면, x = 10과 같이 사용합니다.
- float (부동소수점):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나타냅니다. 예를 들면, y = 3.14과 같이 사용합니다.
2. 문자열 (String)
문자열은 작은 따옴표 (')나 큰 따옴표 (")로 둘러싸인 텍스트입니다. 예를 들면, name = "John"과 같이 사용합니다.
3. 리스트 (List)
여러 값을 담을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. 대괄호([])로 둘러싸여 있으며, 각 값은 쉼표로 구분됩니다. 예를 들면, numbers = [1, 2, 3]과 같이 사용합니다.
4, 튜플 (Tuple)
리스트와 비슷하지만, 값을 변경할 수 없는(immutable) 자료형입니다. 소괄호(())로 둘러싸여 있습니다. 예를 들면, point = (10, 20)과 같이 사용합니다.
5. 세트 (Set)
중복을 허용하지 않고, 순서가 없는 자료형입니다. 중괄호({})로 둘러싸여 있으며, 각 값은 쉼표로 구분됩니다. 예를 들면, fruits = {"apple", "banana", "orange"}과 같이 사용합니다.
6. 사전 (Dictionary)
키-값 쌍을 저장하는 자료형으로 중괄호({})를 사용합니다. 각 키와 값은 콜론(:)으로 연결되며, 항목은 쉼표로 구분됩니다. 예를 들면, person = {"name": "John", "age": 30}과 같이 사용합니다.
7. 불린 (Boolean)
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 주로 조건문에서 사용됩니다.
8. None 타입
아무 값도 없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, 주로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에 할당됩니다.
With ChatGPT
'Python > 포스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(0) | 2023.11.30 |
---|---|
파이썬 숫자형 (Numeric Types) (0) | 2023.11.30 |
파이썬 멤버십 연산자 (Membership Operators) (0) | 2023.11.30 |
파이썬 식별 연산자 (Identity Operators) (0) | 2023.11.30 |
파이썬 할당 연산자 (Assignment Operators) (0) | 2023.11.30 |